2025. 7. 22. 15:00ㆍSAP CO
안녕하세요, SAP CO MATDOC입니다.
SAP ERP에서 WIP(Work in Process, 재공품) 계산은 생산오더나 Product Cost Collector 기반 제조 환경에서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요소입니다. 제조 공정이 완료되기 전까지 발생한 원가를 관리하고 재무 보고서에 적절히 반영하려면, 이를 위한 WIP 관련 설정이 필수적입니다. 이 글에서는 SAP-CO-PC 모듈 Product Cost by Period에서 WIP 계산을 위한 설정 항목들을 소개하고, 실제 구성 예시와 함께 설명드리겠습니다.
[SAP CO] WIP(Work in Process, 재공품) 이해와 Configuration
안녕하세요, SAP CO MATDOC입니다. 제품을 생산하는 제조 기업에서는 항상 특정 시점에 완성되지 않은 생산품이 존재합니다.기말 시점에 아직 완성되지 않은 제품의 생산 원가는 SAP에서는 재공품(WI
matdoc.tistory.com
1. Line ID 정의 (Define Line IDs)
WIP 계산은 단순히 발생한 원가를 누적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유형별로 구분하고 관리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때 설정 해야 하는 것이 Line ID입니다.
Controlling > Product Cost Controlling > Cost Object Controlling > Product Cost by Period > Period-End Closing > Work in Process > Define Line IDs
Line ID는 특정 유형의 원가 (예: 직접 재료비, 인건비, 제조간접비 등)를 그룹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Line ID | 설명 |
MAT | 직접 재료비 |
LAB | 직접 노무비 |
OVG | 제조 간접비 |
REV | 수익 (Revenues) |
각 Line ID는 후속 단계에서 WIP 계산, 결과분석(Results Analysis), 재무 계정 매핑 등에 사용됩니다.
2. 원가요소(Line ID) 매핑 설정 (Define Assignment)
Define assignment에서는 어떤 원가요소(Cost Element)가 어떤 Line ID에 매핑될지 정의합니다.
실제로 오더(생산오더, Production Cost Collector 등)에 발생하는 원가요소를 어떤 Line ID로 분류할지 정의하는 단계입니다.
SPRO > Controlling > Product Cost Controlling > Cost Object Controlling > Product Cost by Period > Period-End Closing > Work in Process > Define Assignment
예를 들어, 원가요소 500000~599999번대는 모두 직접 재료비라면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 Masked Cost Element: 00005+++++
- ReqToCap(자산화 요구): MAT
이를 통해 재공품 계산 시 어떤 원가요소가 어떤 유형의 원가로 간주되어야 할지 SAP 시스템이 인식하게 됩니다.
⬥ 예시
- 직접 재료비 계정이 500000~500099일 경우 → 00005+++++ → MAT
- 직접 노무비 계정이 600000~600099일 경우 → 00006+++++ → LAB
복잡한 프로젝트에서는 자산화할 수 없는 항목(예: 마케팅 비용)을 CannotBeCap 열에 넣을 수도 있으며, 자산화 비율을 50%만 인정하는 경우 OptionToCap 항목과 퍼센트 열을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WIP 업데이트 설정 (Define Update)
이 설정에서는 위에서 정의한 Line ID를 실제 WIP 계산 항목과 연결합니다.
Controlling > Product Cost Controlling > Cost Object Controlling > Product Cost by Period > Period-End Closing > Work in Process > Define Update
예를 들어 MAT이라는 Line ID가 WIP 계산 항목으로 인식되도록 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구성합니다:
- LID: MAT
- Category: K (Costs)
- Creation: WIP 원가요소 (예: 398000)
- Usage: WIP 사용 원가요소 (예: 399000, Result Analysis Split 사용 시 필요)
이 설정을 통해 WIP 금액이 어떤 원가 항목으로 계산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결과분석 보고서에서 어떻게 표현될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Result Analysis Split은 결과분석(Results Analysis) 수행 시, 발생 원가를 보다 정밀하게 분리하여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특히, Split Creation/Usage 플래그를 설정하면 결과분석 수행 시 발생한 원가를 다음과 같이 이원화해 계산합니다: Result version 세팅 시 Extended Control → "Split Creation/Usage" 항목에 체크하면 활성화됩니다.
- Creation (자산화 대상): 재공품으로 자산화되어 대차대조표(B/S)에 반영될 금액
- Usage (비용화 대상): 실제로 수익과 직접 대응하여 손익계산서(P&L)에 반영될 금액
4. WIP 정산 계정 매핑 (Define Posting Rules for Settling WIP)
이 단계는 WIP 계산의 결과를 실제 재무 계정에 반영하기 위한 설정입니다.
Controlling > Product Cost Controlling > Cost Object Controlling > Product Cost by Period > Period-End Closing > Work in Process > Define Posting Rules for Settling Work in Process
RA Category | 설명 예시 | 계정 |
WIPR | 자산화 대상 재공품 | B/S 계정: 148000 |
WIPO | 자산화 선택 재공품 | B/S 계정: 148050 |
WIPP | 자산화 금지 재공품 | P&L 계정: 580000 (비용) |
RUCR | 실현되지 않은 비용의 준비금 (자산화 대상) | B/S 계정: 149000 |
ROCU | 실현되지 않은 비용의 준비금 (선택 자산화) | B/S 계정: 149050 |
RUCP | 실현되지 않은 비용의 준비금 (자산화 금지) | P&L 계정: 581000 |
이 설정을 기반으로 SAP는 정산(Settlement) 시점에 WIP 잔액을 손익계산서(P&L) 또는 대차대조표(B/S)로 분개합니다.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
Define Assignment와 Define Update 모두 원가요소를 설정하는데,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두 세팅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Define Assignment | Define Update |
목적 | 실제 발생한 원가요소를 Line ID에 매핑 | Line ID를 결과분석 원가요소로 매핑 |
주요 대상 | Source Cost Element (발생 원가요소) | RA Cost Element (결과분석용 원가요소) |
시점 | 실제 원가 집계 시 어떤 Line ID로 처리할지 | 결과분석(WIP 계산) 시 어떤 계정에 반영할지 |
예시 | 500000 → MAT, 600000 → LAB 등 | MAT → 398000(자산), LAB → 399000(비용) |
FI 전표 영향 | 직접 분개 발생 없음 | FI 전표 생성 시 반영됨 |
1️⃣ Define Assignment (T-code: OKG5)
Source Cost Element → Line ID 매핑을 수행합니다.
이 Line ID가 나중에 WIP 계산 및 결과분석 로직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직접적인 FI 전표 생성에 관여하지 않습니다.
SAP가 **"이 원가요소는 어떤 종류의 비용으로 간주할까?"**를 판단하는 데 사용합니다.
WIP 금액 산출에는 필요하지만, 전표의 실제 분개 라인(계정, 금액 등)을 결정하진 않습니다.
2️⃣ Define Update (T-code: OKGA)
Line ID → 결과분석용 Cost Element 매핑합니다.
즉, 특정 비용 유형(Line ID: MAT, LAB 등)을 어떤 WIP용 원가요소로 분개할 것인지 정의합니다.
전표에 사용될 Cost Element를 직접 지정하기 때문에, 이 설정은 FI/CO 전표 생성에 직접적 영향을 줍니다.
특히 KKAO, KKAX, CO88 실행 시 이 정보를 바탕으로 전표를 생성합니다:
두 번째 질문입니다.
Result Analysis Split 미사용 시 WIP 처리 방식이 어떻게 될까?
전체 결과분석 금액을 하나의 WIP 금액으로 간주합니다. 이때 OKGA의 Creation/Usage 원가요소는 무시됩니다.
SAP는 기본값으로 지정된 Secondary Cost Element를 사용하거나, OKG8(Posting Rule)의 G/L 계정으로 직접 FI 전표를 생성합니다.
향후 라인 별 분리 보고 확장성을 고려하면 Define Update(OKGA)를 설정하는 것이 좋으나 설정하지 않아도 전표는 정상 생성될 수 있습니다.
마무리
WIP 설정은 재무제표에 정확한 제조 현황을 반영하기 위한 필수 요소입니다. 위에서 소개한 4단계(Define Line ID → Assign Elements → Define Update → Define Posting Rules)를 통해 SAP에서의 재공품 계산 로직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실제 업무에 적용 시에는 회계 정책, 감사 기준 등을 고려하여 자산화 가능 항목과 불가 항목을 명확히 구분하고, 원가 요소 매핑이 누락되지 않도록 설정이 필요합니다.
'SAP CO'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P CO] WIP(Work in Process, 재공품) 이해와 Configuration (0) | 2025.07.18 |
---|---|
[SAP CO] Settlement - PA Transfer Structure 에 관하여 (0) | 2025.06.28 |
[SAP CO] Settlement - Allocation Structure에 관하여 (0) | 2025.06.22 |
[SAP CO] 마감 정산을 위한 Settlement Profile 설정 (1) | 2025.06.20 |
[SAP CO] Costing Variants 에 관하여(Valuation type편[Subcontracting 외]) (0) | 2025.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