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P CO] 원가구성요소 구조(Cost component structure) 에 관하여(4)

2025. 2. 9. 23:08SAP CO

안녕하세요, SAP CO 이야기 맷닥(MATDOC)입니다.

 

SAP CO 개념과 IMG 및 스탠더드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 그리고 실제 경험들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쓴 글을 다시 읽어보니 너무 두서없이 쓴 것 같습니다.

좀 더 블로그 독자가 읽기에 이해하기 쉬운 글을 쓰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제 글에 의견이 있다면 댓글로 언제든 환영입니다.


원가구성요소 구조(Cost Component Structure) Overview

지금 연이어 Cost component structure에 대하여 글을 쓰고 있는데요,

지금까지 내용을 한 번 요약정리 후 넘어가겠습니다.

 

1) Cost component structure는 유사한 성격의 Cost element를 그룹 지어 Cost component를 만들고 Cost component로 구성된 구조바로 Cost component structure입니다.

구체적으로는 Cost component structure는 Cost element과 Origin group의 조합으로 구성된 Cost component의 집합체입니다.

Cost Componen Structure From Cost Element To Cost Element Origin Group Cost Component
01 200000 249999 OG01 100 (재료비_제품)
250000 299999 OG02 110(재료비_반제품)
400000 499999   노무비

[표 1] Cost component structure

 

 

2) Cost component structure에서 재료비, 내부활동, 외부활동, 간접비 등으로 원가를 그룹화합니다.

Cost component structure를 통해 Activity price 계산, 재료비 계산(Material costing)에서 그룹화된 원가구성요소별로 분류화여 관리/분석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표준원가 추정, 제조원가, 가공비 계산(Activity price calculation)에서 모두 Cost component structure 가 사용됩니다.

- 액비비티 타입별 액티비티 비용 (Activity prices for an activity type)
- 제조 원가 (Cost of Goods Manufactured / Material costing)
- 표준원가 추정 (Planned cost of a product)

 

Cost component split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3) Cost component structure는 원가구성요소로 분류하는 체계를 정의한다면 Cost Componet split은 Cost component structure에 따라 실제로 원가를 분할(Split) 한 결과입니다.

Cost component split 설정 시 비용이 1) 고정비(Fixed costs) 또는 변동비(Variable costs)인지 2) 제조원가(COGM)또는 판관비(SG&A)인지 3) 제품 재고, 상품 재고 또는 TAX 관련 제품 재고인지 등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습니다.

 

Cost component split을 대표적으로 볼 수 있는 곳이 자재원장 분석(Material price analysis)인데요, CKM3에서 보면 Main/Auxiliary cost component split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럼 Main cost component split과 Auxiliary cost component split의 특징과 조직 단위(Organization unit)에 어떻게 할당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ain Cost Component Structure

1) Main Cost component structure는 말 그대로 메인이 되는 Cost component structure입니다.

표준원가 추정 시 사용되며 Cost component 별로 원가 비용을 구분하여 볼 수 있습니다. Main이 되기 위해서는 Cost component split이 COGM 이거나 Primary cost component split 인 경우에만 Main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 [화면 1]은 표준원가 추정 조회 화면(T-CODE : CK13N)입니다. 추정된 표준원가가 원가구성요소별로 원가가 얼마나 되는지 조회할 수 있습니다. Cost component view를 더블클릭하면 정의되어 있는 원가구성요소별 원가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화면1] Display Material Cost Estimate with Quantity Structure

 

 

2) Main Cost Component structure는 조직 단위(Organization unit)에 주요 원가 구성요소 구조를 할당해야 합니다.

아래 [화면 2]는 Main과 Auxiliary cost를 등록하는 화면입니다. Auxiliary Cost component structure와 달리 Main은 반드시 입력해야 합니다. 원가 계산 변형(Costing Variant)을 통해 조직 단위에 대한 원가 구성요소 구조의 할당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회사 코드나 플랜트 수준에서 원가 구성요소 구조를 할당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 의 표시는 모든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회사코드에 ++++가 되어있다면 모든 회사코드에 대하여라는 의미입니다.

[화면2] Assignment: Organiz. Units - Cost Component Struct

Auxiliary Cost Component Structure

1) Main Cost component structure와 함께 보조로 사용하는 Cost component structure입니다.

Main과 동일하게 표준원가 추정 시 Main과 병렬적으로 분석 가능합니다. Main과 함께 Auxiliary Cost componet split으로 추정된 표준원가를 원가구성요소 별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저번 글 중 Transfer structure 관련하여 잠시 언급한 바가 있는데요,

2) Auxiliary cost component structure에 대해 추가적인 설정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저의 경험과 이론이 충돌하는데요, 제가 운영한 경험으로는 Transfer structure에 설정하지 않아도 Main과 Auxiliary cost component strucutre로서 정상적으로 작동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일부 기업에서는 Transfer structure를 사용하지 않았고, 일부 기업에서는 사용하고 있었다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아래와 같이  설정이 완료되면 Auxiliary cost component structure 기준으로도 계획 활동 가격을 자동으로 계산합니다.

1) Auxiliary cost componet structure 생성
2) Transfer structure 탭에 Main과 Auxiliary 관계 매핑 후 설정
3) 조직 단위(Organization unit)에 Main, Auxiliary 설정
4) OKEQ 계획 버전(Plan version)에서 Price calculation 탭에 Auxiliary 설정

[화면3] OKEQ 계획 버전(Plan version)에서 Price calculation 탭에 Auxiliary 설정

 

 


Cost Component Group

원가구성요소를 그룹으로 묶어 다양한 보고서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화면 4]에서 Group을 추가, 수정, 삭제할 수 있습니다.

[화면4] Display view "Cost Componet Groups" Overview

 

Cost componet 별 Group을 아래 [화면 5]의 지정화면에 입력하면 그룹 내 지정됩니다. 각 원가 구성요소에 최대 두 개의 그룹을 할당할 수 있습니다.

[화면5] Cost componet 별 Group 지정 화면

 

Standard report 하나를 예시로 보겠습니다. S_P99_41000111는 자재의 추정된 표준원가를 분석하는 리포트입니다. 해당 리포트에서 [화면 6]과 같이 필드를 추가 시 Cost component group(예시, Direct Material)을 추가하여 데이터 분석을 할 수 있습니다.

 

[화면6] S_P99_41000111 필드 예시

 

이 글로 Cost component structure에 대해 설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Cost component structure는 원가 데이터를 더 효과적으로 분석하고 보고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며, 특히, 복잡한 원가 구조를 가진 조직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Main과 Auxiliary cost component structure를 통해 다양한 구성으로 원가를 분석하는 기업들이 있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