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1. 31. 15:52ㆍSAP CO
안녕하세요, SAP CO 이야기 맷닥(MATDOC)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원가구성요소(Cost component structure)에 대해서 분석해보고자 합니다.
원가구성요소(Cost component structure)는 제품 원가 계산 결과를 체계적으로 그룹화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기업이 원가를 효과적으로 분류하고 분석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로, 적절히 구성하면 더 명확하고 유용한 원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럼 원가구성요소(Cost component structure)의 목적과 정의 그리고 특징에 대해서 소개하겠습니다.
원가구성요소(Cost component)의 정의
우선 원가구성요소란 무엇일까요? 기업에는 다양한 원가요소(Cost element)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노무비 관련된 계정만 하더라도 수 십 개의 계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 원가요소 별로 발생한 비용을 분석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수 있지만 노무비라는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원가를 분석하는 것 또한 의미가 있습니다. 즉, 원가구성요소는 아래와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유사한 유형의 원가(예: 재료비, 노무비, 간접비)를 식별합니다.
원가요소들을 그룹화하여 구성합니다.
여기에 더하여 Origin group 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단순히 재료비라는 원가구성요소로 원가를 분석할 수도 있지만 기업에서 재료비를 좀 더 세분화하여 분석하고 싶은 니즈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아래 표를 예시로 보겠습니다.
원가구성요소(Cost compont) | 오리진 그룹(Origin Group) |
재료비 | 그룹A(원재료) |
그룹B(반제품) | |
그룹C(연구 및 샘플용) |
[표1] 원가구성요소와 오리진 그룹
'재료비 중 원재료에 해당하는 것들만 원가를 분석하고 싶다.'라고 한다면 원가구성요소인 재료비와 오리진 그룹(Origin group) 중 Group A를 조합하여 분석할 수 있습니다.
오리진 그룹은 IMG 세팅이 필요합니다. T-CODE OKZ1으로 조회하거나 아래의 경로를 통해 조회하고 설정할 수 있습니다.
Controlling > Product cost controlling > Cost object controlling > Product cost by sales order > Basic settings for
Product cost by sales order > Define origin groups
관리회계영역 하위 설정된 오리진 그룹은 자재 마스터(T-CODE : MM03)의 costing view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어떤 자재가 오리진그룹이 설정되어있다면 오리진그룹과 원가구성요소의 조합으로 원가 분석이 된다는 의미입니다.
즉, 오리진 그룹은 원가구성요소와 함께 더 상세한 분석이 가능하며, 원가구성요소 구조(Cost component structure)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원가구성요소 분할 (Cost Component Split)
원가구성요소 분할은 자재의 총 원가를 구성하는 원가구성요소의 조합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재료비, 노무비, 간접비 세 가지 원가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성한다면 이 조합이 원가구성요소 분할이라고 정의합니다.
원가구성요소 분할은 왜 중요할까요?
제품별 동일한 원가구성요소 분할을 기준으로 원가 분석이 가능합니다. 제품별 또는 제품군에 따른 동일한 원가구성요소로 비교 분석이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또한 추후 설명할 수익성 분석(CO-PA)에서도 Cost components별 분석과 동일하게 구성하고 있습니다.
원가구성요소 구조 (Cost Component Structure)
원가구성요소 구조는 위에서 정의된 원가구성요소 분할에 어떤 원가구성요소가 들어갈 지 정의합니다.
원가구성요소 구조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합니다.
1) 원가요소(cost elements)와 오리진 그룹(origin groups)을 각 코스트 컴포넌트에 할당합니다.
2) 다양한 관점에서 원가를 분석할 수 있도록 Cost component view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3) 회사 코드나 플랜트와 같은 조직 단위에 Cost component structure를 할당합니다.
4) Cost component group을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그럼 Cost component structure를 어떻게 구성하는 지 IMG 설정 화면을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T-CODE OKTZ를 입력하거나 아래의 경로를 통해 프로그램을 조회합니다.
Controlling > Product Cost Controlling > Product Cost Planning > Basic Settings for Material Costing> Define Cost Component Structure
아래 Cost component structure를 구성하는 첫 화면입니다.
[화면 1] 오른쪽에 사용 가능한 원가 구성요소 구조(Cost Comp. Str.)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원가 구성요소 구조를 사용하거나 복사하여 새로운 구조를 만들 수 있습니다.
- ‘Active’ 체크박스를 선택해야 원가 추정이나 활동 가격 계산에 해당 원가 구성요소 구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예시 [화면 1]에서는 Y1 Cot Comp. Str. 만 사용 가능한 상태입니다.
- 주 원가 구성요소 분할 (Primary Cost Component Split) 체크박스를 선택하여 특정 원가 구성요소 구조를 주 원가 구성요소 분할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Primary cost component split은 기존의 원가 구성요소 구조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대체 뷰'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Primary cost component split은 일반적으로 1차 원가요소로 제조 원가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분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다음 글에서 Primary cost component split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겠습니다.)
하나의 Cost Comp. Str.을 선택 후 Cost Components with Attributes 탭을 더블 클릭 하면 Cost components들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각 Cost components 별 이름을 통해 어떤 원가요소로 구성되어 있을지 성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원가구성요소를 더블 클릭하여 상세 설정 내역을 보겠습니다.
- Control
- Cost Share는 변동 비용인지 변동/고정포함 비용인지 원가 추정 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화면4]를 보면 원가구성요소별 변동/고정비 설정에 따라 원가 추정 시 변동, 고정비를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 Cost Rollup은 COGM(Cost of Goods Manufactured) 또는 재고 평가와 관련된 원가는 반드시 롤업해야 합니다. 제조 및 재고 관리하는 원가구성요소라면 보통 반드시 체크하게 되어있으며 미 체크 시 에러 메시지가 발생합니다.
- Filter Criteria for Cost Component Views(중요 세부항목만)
- 판매된 제품의 원가(COGS)는 원가 구성요소의 COGS를 정의합니다. 일반적으로 “제조된 제품의 원가(Cost of Goods Manufactured)“를 선택합니다.
- 재고 평가 (Inventory Valuation)는 재고 평가와 관련된 원가 구성요소를 정의합니다. 보통 “고정 및 변동 원가(Fixed and Variable Costs)“를 선택합니다.
다음은 각 원가구성요소 별 원가요소를 매핑하는 화면입니다. 개별 원가 요소 또는 원가 요소 범위를 원가 구성요소에 할당할 수 있습니다.
‘From cost el.’ 및 ‘To cost elem.’ 열을 사용하여 할당합니다. 이 때 Origin group과 함께 매핑하여 구성할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 Update of Additive Costs부터 추가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SAP CO'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P CO] 원가구성요소 구조(Cost component structure) 에 관하여(3) (0) | 2025.02.06 |
---|---|
[SAP CO] 원가구성요소 구조(Cost component structure) 에 관하여(2) (0) | 2025.02.04 |
[SAP CO] 자재원장과 Account determination 설정(OBYC) (3) | 2025.01.25 |
[SAP CO] 자재원장과 실제 원가 계산 (이동평균가) (0) | 2025.01.24 |
[SAP CO] 자재원장의 정의와 실제원가 계산 (표준원가) (0) | 2025.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