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2. 11. 19:00ㆍSAP CO
안녕하세요, SAP CO 이야기 맷닥(MATDOC)입니다.
저번 글까지 해서 Costing component structure에 대해 모두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글부터는 Costing variants에 대해 분석해 보겠습니다.
Costing variants는 구축 시 처음 한 번 설정하면 잘 변경하지 않아 잘 알아보지 않았던 내용인데요,
원가 추정 시 어떤 제어가 들어가 있고, 어떤 설정이 들어있는지 꼭 한 번 확인해봐야 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럼 이제부터 Costing variant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osting variant를 정의하는 방법을 알아본 후, 각 파라미터 구성요소 별 어떤 항목을 통제하고 설정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Costing Variant
SAP에서 원가 추정(Cost estimate)은 Costing variant가 베이스가 되어 수행됩니다.
Costing variant는 원가 추정에 관련된 모든 통제 파라미터(설정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Costing variants의 통제 파라미터는 총 6개입니다.
1. Costing type
2. Valuation variant
3. Date control
4. Quantity structure control
5. Transfer control (선택)
6. Reference Variant (선택)
Costing variant는 T-CODE OKKN을 통해 접근 가능하며 IMG 메뉴 경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Coontrolling > Product Cost Planning > Material Cost Estimate with(Without) Quantity Structure > Define Costing Variants
IMG 메뉴 경로 중 Material cost estimate with Quantity structure가 있고, without Quantity structure가 있는데요. 원가 추정 시 수량 구조(Quantity structure)를 가지고 추정할 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수량구조라 하면 BOM(Bill of Material)과 Routing을 의미합니다. BOM과 Routing이 있다는 것은 수량 구조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하위 반제품, 원재료 원가와 액티비티 수량을 기준으로 원가 추정을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수량 구조가 있을 때와 없을 때 원가 추정 시 모두 Costing variant가 베이스가 됩니다.
아래 [화면 1]은 Costing variants의 개요 화면입니다. 아래 Costing varant는 스탠더드 시스템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Variants입니다. Costing type 설명할 때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Material ledger에서 Parallel valuation을 사용하도록 설정한 경우 Standard cost estiamte에 대한 Legal valuation 외 추가적으로 생성이 필요합니다.
위의 Costing varaint 중 하나를 더블 클릭하여 세부 내역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저는 PPC1을 더블 클릭하니 [화면 2] 상세화면이 나왔습니다. [화면 2] Control 탭에 6개의 설정 매개변수(빨간 박스)를 볼 수 있습니다.
스탠더드에서 제공하는 Costing variant의 Costing Type과 Valuation variant는 중요 매개변수로 변경이 불가합니다. 따라서 Costing variant 별 Costing type은 기술적으로는 동일할 수 있지만 되도록 Costing type 별 Costing type은 다르도록 세팅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제 Costing variant의 여섯 가지 설정 매개변수 중 Costing typ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osting type
[화면 2]의 Costing Type 버튼 옆 새 페이지 버튼을 누르면 스탠더드에서 제공하고 있는 Costing type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Costing variant처럼 사용자가 수기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수기 생성 시에는 두 자리 숫자로 만들 수 없고 알파뱃 + 숫자 형태로 만들 수 있습니다(예시: A1)
스탠더드에서 제공하는 Costing Type 중 Standard cost estimate를 수행하는 Costing type은 01 하나입니다. 만약, [표 1]과 같이 Material ledger를 병렬 통화(Parallel valuation)를 사용하도록 설정하였다면 추가로 Costing type을 생성해야 합니다.
No. | Currency (예시) | Text | Valuation view |
1 | 10 | Company code currency | Legal Valuation |
2 | 10 | Company code currency | Profit Center Valuation |
3 | 12 | Group currency | Group Valuation |
[표 1] 병렬 통화(Parallel Currencies) [T-CODE: 8KEM]
이번 글에서는 다중 평가(Legal, Profit center, Group valuation)에 대한 특징에 대해서 간단하게만 알아보겠습니다.
Valuation view | 주요 특징 |
Legal valuation | 개별 기업의 법적 보고를 위한 평가로 외부에 공시되는 재무제표에 반영되는 뷰. - 각 회사(법인)별로 적용되며 Company code currency 사용 |
Profit Center Valuation | 관리회계 목적으로 회사(법인)별이 아닌 손익센터 단위 구분회계를 위한 평가 뷰. - 손익센터 간 사내거래로 발생한 손익센터별 내부 매출액, 매출원가를 평가할 수 있음 - Transfer price(이체가) 관리 필요 |
Group Valuation | 여러 회사코드 간(보통, 계열사, 연결된 법인) 거래에서 내부 손익을 제거한 통합 관점의 '재고평가' 뷰 - 개별 회사코드가 아닌 그룹 단위의 자재 코드 레벨에서 평가 |
Costing type - Price Update
다시 Costing type의 속성으로 돌아와 Price Update 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rice update 탭에는 Price Update와 Valuation view 가 있습니다.
Costing type이 Standard cost estimate 인 경우에는 Price update가 Standard price이며 변경이 불가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Standard Price입니다. 이 외 다른 Price update의 경우에는 재고 평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아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만 기억해 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표 1]과 같이 Parallel valuation을 사용하는 경우 원가 추정 시 Valuation 별 설정이 필요합니다. 원가 추정 시 각 평가 View에 맞도록 Valuation view 세팅이 필요합니다.
Costing type - Save Parameters
Save Paramters 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수량 구조(Quantity structure)가 있는 원가 또는 추가 원가(Additive cost) 추정 시 날짜에 대한 설정 탭입니다.
우선 수량 구조가 있는 원가가 표준원가인 경우 반드시 'With Start of Period'로 세팅해야 합니다.
기간(Costing Date From/To)을 입력해야 추정이 가능합니다.
표준원가 추정 시 추정이 시작된 최초의 일자가 등록되며 추정 시 Start date와 함께 같이 저장됩니다.
참고로 Without Date는 임시로 리포팅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Costing type 인 경우 사용하고, With Date는 기간이 아닌 Costing estimate 시작 일자만 등록됩니다.
이번 글은 여기까지 작성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SAP CO'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P CO] Costing Variants 에 관하여(Valuation type편[Activity Types]) (0) | 2025.02.26 |
---|---|
[SAP CO] Costing Variants 에 관하여(Valuation type편[Material valuation]) (0) | 2025.02.18 |
[SAP CO] 원가구성요소 구조(Cost component structure) 에 관하여(4) (0) | 2025.02.09 |
[SAP CO] 원가구성요소 구조(Cost component structure) 에 관하여(3) (0) | 2025.02.06 |
[SAP CO] 원가구성요소 구조(Cost component structure) 에 관하여(2) (0)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