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P CO] 자재원장과 Account determination 설정(OBYC)

2025. 1. 25. 13:54SAP CO

안녕하세요, SAP CO 이야기 맷닥(MATDOC)입니다.

 

저번 글에서는 자재원장에서 표준원가/이동평균가 자재들이 입/출고 발생 시 가격차이가 어떻게 발생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표준원가 자재의 경우 가격차이가 금액도 제조원가에 반영될 수 있지만 이동평균가 자재는 반영되지 않아 문제의 여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들을 참고해 주세요.

 

 

[SAP CO] 자재원장과 실제 원가 계산 (이동평균가)

안녕하세요,  SAP CO 이야기 맷닥(MATDOC)입니다. 저번 글에서는 자재원장의 기본 정의와 가격관리가 표준원가인 경우 가격차이가 어떻게 발생하는 지 알아보았습니다.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

matdoc.tistory.com

 

 

 

[SAP CO] 자재원장의 정의와 실제원가 계산 (표준원가)

안녕하세요, SAP CO 이야기 맷닥(MATDOC)입니다. 자재원장(Material Ledger)에 대해 차근차근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처음부터 Material ldeger 모든 내용이 다 이해가 가지 않을 수 있습니다.그렇지만 하나

matdoc.tistory.com


평가클래스(Valuation Class)

자재원장에서 물류 실적이 발생할 때 어떤 계정으로 발생할까요?

이에 대한 대답을 하기 위해서는 평가클래스(Valuation class)에 대해 먼저 알아야 하는데요.

평가클래스는 유사한 특성을 가진 자재들을 그룹화하여 동일한 회계 게정으로 처리하기 위한 분류 체계입니다.

일반적으로 원재료, 반제품, 제품, 상품으로 구분하는 데 주로 사용하며, 동일한 평가클래스를 가진 자재들은 같은 회계 계정을 사용합니다. 평가클래스의 사용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재고 자산의 총계정원장 계정 결정
- 유사한 자재들의 재무적 그룹화
- 자동 회계 처리(Account determination) 처리를 위한 기준 제공

 

MM Account determination에 가장 주요한 키인 평가 클래스는 자재 마스터 Accounting 1 또는 Costing 2 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예시에서는 7920인 경우 제품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평가클래스는 4자리 숫자로 표기합니다.

 

Material Master: Valuation class

 

 

자동 회계 처리(Account determination) 처리

Account determination에서 평가 클래스는 자동 회계 처리를 위한 기준을 제공한다고 앞서 말씀드렸습니다.

그럼 어디서 계정을 설정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T-CODE는 OBYC이며 Materials Management 하위에 있습니다.

CO 모듈에서도 자주 보는 세팅 프로그램이니 T-CODE를 기억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Configure Automatic Postings를 들어가면 아래의 Automatic posting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Account Assignment를 클릭합니다.

Automatic posting

 

아래 화면이 메인 화면인데요, Transaction key와 Description을 볼 수 있습니다.

Transaction key는 MM 모듈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타입의 트랜잭션을 유형화한 것입니다.

각 트랜잭션 키에 각각 계정을 지정하게 됩니다.

OBYC : Automatic postings

 

Price Differences(PRD)

가장 대표적인 트랜잭션 키 중 하나인 'PRD'를 알아보겠습니다.

 

PRD 거래 키는 자재 이동과 송장에 대해 표준원가(Standard price)로 평가되는 자재에 사용되며, 이 표준원가와 다른 값을 가질 때 적용됩니다. 

1) 구매오더 내 가격이 표준 가격(표준원가X수량)과 차이가 발생한 경우
2) 출고 시 입력된 금액이 표준 가격(표준원가X수량)과 차이가 발생한 경우
3) 송장 내 가격이 구매오더와 표준 가격과 차이가 발생한 경우

 

뿐만 아니라 이동평균가 자재가 가격차이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PRD 거래가 적용됩니다.

그럼 계정을 지정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Rules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래 네 가지 조합을 통해 계정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1) Debit/Credit 체크 시 차/대변 별 각각 계정을 지정합니다.
2) General modification 체크 시 이동유형 별 계정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 이동 유형(Movement Type)의 "Account Modification" 키와 동일한 의미를 가집니다
- 예시: AUF: 생산오더의 입고, VAX: 판매오더의 자재출고
3) Valuation modif. 체크 시 평가 영역(Valuation area)을 그룹화하여 계정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 동일한 회계 처리가 필요한 플랜트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서 동일한 G/L 계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Valuation class 체크 시 valuation class 별 각각 계정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MM 모듈 물류 실적 프로세스에 따라 FI G/L 계정을 구분할 수 있도록 만든 이 설정은 동일한 자재에 대해 서로 다른 비즈니스 상황에서 G/L계정을 구분하여 자동 결정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General modification Valuation class Debit Credit
  3000 231000 281000

[예시 1] Account determination

 

예시 1 표를 보면 가격차이가 발생하는 모든 트랜잭션에 대해서 자재의 평가 클래스가 3000인 경우 차변은 231000 계정으로 대변은 281000 계정으로 결정됩니다.

 

General modification Valuation class Debit Credit
PRA 3000 231000 281000
PRF 3000 241000 271000
PRU 3000 251000 291000

[예시 2] Account determiantion with General modif.

 

예시 2 표를 보면 Gerneral modfication에 PRA라는 코드가 있습니다. 예시 1 표는 평가 클래스 별 계정 결정이 되도록 설정했다면 예시 2 표는 한 단계 더 구분합니다.

  • PRA : 생산오더 또는 오더 정산(Order settlement)에 대한 재고 입고 시
  • PRF :  구매오더에 대한 재고 입고 또는 송장 그리고 재고 출고(예, 201 이동유형), 기타 입고(예시, 561 이동유형), 등
  • PRU : 재고 이동 시 보내는 자재 쪽에 발생한 가격차이

General modfication을 지정하면 위와 같이 평가클래스와 함께 더 세부적으로 계정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MM account determination 설정과 PRD 가격차이시 계정 설정이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