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4)
-
WIP(재공품) 계산을 위한 설정 가이드: Line ID부터 계정 설정까지
안녕하세요, SAP CO MATDOC입니다. SAP ERP에서 WIP(Work in Process, 재공품) 계산은 생산오더나 Product Cost Collector 기반 제조 환경에서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요소입니다. 제조 공정이 완료되기 전까지 발생한 원가를 관리하고 재무 보고서에 적절히 반영하려면, 이를 위한 WIP 관련 설정이 필수적입니다. 이 글에서는 SAP-CO-PC 모듈 Product Cost by Period에서 WIP 계산을 위한 설정 항목들을 소개하고, 실제 구성 예시와 함께 설명드리겠습니다. [SAP CO] WIP(Work in Process, 재공품) 이해와 Configuration안녕하세요, SAP CO MATDOC입니다. 제품을 생산하는 제조 기업에서는 항상 특정 시점에 완성..
2025.07.22 -
[SAP CO] WIP(Work in Process, 재공품) 이해와 Configuration
안녕하세요, SAP CO MATDOC입니다. 제품을 생산하는 제조 기업에서는 항상 특정 시점에 완성되지 않은 생산품이 존재합니다.기말 시점에 아직 완성되지 않은 제품의 생산 원가는 SAP에서는 재공품(WIP: Work in Process)이라고 하며,이를 결산 시점에 재무제표에 반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이번 글에서는 WIP 개념과 SAP에 설정하고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WIP(재공품) 처리 흐름 생산 공정 프로세스에 따라 WIP이 재무제표 상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① 생산오더 출고 - 원가 발생 일반적으로 생산 오더가 생성되면, 자재가 창고에서 출고되어 제조 공정에 투입됩니다.이때 자재의 원가는 손익계산서(P/L)에 비용으로 반영되고, 재고자산(B/S)에서는 제거됩니다...
2025.07.18 -
연결재무제표란 무엇인가? – 지배와 통합의 회계 이야기
안녕하세요, MATDOC입니다. 최근 ERP 구축 프로젝트에서 연결재무제표에 대해 검토 중 낯선 용어로 당황한 적이 많았습니다.지분법은 무엇이며, 연결재무제표는 무엇이고, 내부거래를 왜 소거해야 하는 건지, 등재무제표에도 개별 재무제표가 있는가 하면, 연결 재무제표도 있다는데… 도대체 ‘연결’이란 무엇을 뜻할까요? 이번 글에서는 연결재무제표가 무엇인지, 왜 작성해야 하는지, 그리고 장단점은 무엇인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 연결재무제표란?연결재무제표는 말 그대로 여러 회사를 하나로 연결해서 만든 재무제표입니다.예를 들어 A회사가 B회사의 지분을 많이 갖고 있어서 B회사를 사실상 지배하고 있다면, 회계적으로도 A와 B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서 보고 재무제표를 만들게 됩니다.이때 A회사는 지배기업, B회사..
2025.07.01 -
[SAP CO] Settlement - PA Transfer Structure 에 관하여
안녕하세요, SAP CO MATDOC입니다. SAP 시스템에서 수익성 분석(CO-PA: Profitability Analysis)은 제품, 고객, 영업조직 등 다양한 세그먼트별로 수익과 비용을 분석할 수 있게 해 줍니다.하지만, 이렇게 수익성을 제대로 분석하려면 각종 비용, 수익, 판매 공제, 생산 차이(Variance) 등이 CO-PA에 정확하게 전달되어야 의미 있는 리포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이때 핵심적으로 사용하는 설정이 바로 PA Transfer Structure (수익성 분석 전송 구조)입니다.🧩 PA Transfer Structure란?PA Transfer Structure는 말 그대로 “전송 구조”입니다.즉, 정산(Settlement) 시 어떤 비용 항목을 CO-PA의 어떤 Value Fi..
2025.06.28 -
[회계 기본] 미지급비용과 미수수익에 관한여
안녕하세요, MATDOC입니다. 기업에서는 ‘이미 발생했는데 아직 돈이 안 나갔어요’, 혹은 ‘서비스는 했는데 아직 청구를 못 했어요’ 같은 상황이 발생하게 됩니다.이럴 때 필요한 회계 처리가 바로 미지급비용(Accrued Expense)과 미수수익(Accrued Revenue)입니다. 일반적으로 기업 회계는 발생주의에 따라 처리하기 때문에 수익, 비용 인식 시점이 중요합니다.발생주의 회계에서 수익과 비용을 실제로 현금이 오가지 않더라도, 해당 회계기간에 발생한 사실에 근거해 인식합니다.이 원칙에 따라 미수수익은 아직 청구하지 않았지만 이미 수익이 발생한 경우에 자산으로 인식되고,미지급비용은 실제로 돈은 나가지 않았지만 이미 비용이 발생한 경우에 부채로 기록됩니다.이를 통해 회계정보는 보다 정확한 기간..
2025.06.27 -
매출채권과 대손충당금 – “받을 돈은 다 회수될까?”
안녕하세요, MATDOC입니다. SAP CO와 함께 회계 기본지식 카테고리도 열어 병행하여 포스팅을 진행하려고 합니다.SAP ERP 실무를 하다 보면 시스템 사용법뿐 아니라 회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도 정말 중요하다는 걸 느끼게 됩니다.그래서 회계 기본 지식에 대해서도 차근차근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매출은 잡았는데 돈이 안 들어온다’라는 표현을 들어본 적 있을 텐데요.이때 등장하는 개념이 바로 매출채권입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모든 고객이 제때에 돈을 갚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에 대비한 회계 처리도 필수입니다. 오늘은 매출채권과 대손충당금을 실무 관점, 특히 SAP ERP와 연결해서 풀어보겠습니다.💡 매출채권이란?매출채권은 기업이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한 후, 아직 대금을 받지 못한 금액을 말합니..
2025.06.25